register? create? 회원가입 시 사용할 단어
계정 로그인/로그아웃 컴포넌트명을 login,logout으로 결정하면서 회원가입 컴포넌트 명 후보 중 sign up은 탈락했다.
(지금 생각해보니 sign up / sign in / sign out 으로 관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.)
- register account ?
- create account ?
둘 중에 어떤 단어를 써야할까 고민하며 여러 글을 읽어보던 중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했다.
I faced this topic in for several projects and I’ve to say that is stil not 100% clear if, as UXs, we have to pay attention to it.
In terms of user task, basically, are very similar. A web form with more or less the same amount of controls and a process of validation (email and/or SMS).
In terms of UX, in my POV, they’re slightly different:
Create an account is more for content available only if you own an account, for instance Dropbox.
Registration is a hook to provide extra features available only for registered (and logged) users, for instance Ebay.
I never found any report/data able to validate these assumptions.
We decided to follow this approach for marketing reasons. To increase the user engagement we delivered different scenarios for “create” and “register”
I hope it will help !
출처 : https://community.uxmastery.com/t/register-vs-create-an-account-rationale/1592
Register Vs Create an account rationale
Is there a definite rationale that differentiates the process of registration from creating an account?
community.uxmastery.com
간단하게 요약해보자면
"물론 이게 정답은 아니지만,
create account는 드롭박스와 같이 회원가입을 해야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사용하고,
registration은 다른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특정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회원가입을 해야하는 경우로 나누어서 구성하고 있다" 라는 것이다.
register와 create 두가지 단어를 놓고 고민하던 내게는 꽤나 합리적인 이유인 것 같았다.
현재 개발중인 서비스는 계정을 생성해야만 게스트하우스를 등록하고 예약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create account로 결정하기로 했다!
'Joyful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다른 사람의 pr을 로컬에서 확인하는 법, pull request 가져오기 (0) | 2021.06.14 |
---|---|
[Git] 커밋을 해도 잔디가 안 심어질 때, fork한 repository의 커밋으로도 잔디를 심어보자, 저장소의 커밋 기록까지 전부 복사해오기 ! (3) | 2021.06.14 |
[최적화] 이미지 압축과 사이즈 조절로 웹 사이트 최적화하기,로딩속도와 TBT 개선 (+이미지 압축 사이트 추천) (0) | 2021.02.24 |
[Webpack] file-loader와 url-loader 비교 차이점 정리 (0) | 2021.02.20 |
[최적화] lazy loading 레이지 로딩으로 로딩 속도를 개선해보자 (0) | 2021.02.04 |